국명 : 뉴트리아
학명 : Myocastor coypus
포유류
영명 : Nutria
생활사
형태특성
몸길이는 43~63cm, 꼬리 길이는 22~42cm, 성체의 체중은 약 5~9kg이다. 털의 색은 다갈색, 흑갈색과 흰색이 주로 보인다.
뒷발에는 물갈퀴가 있어 수중생활에 적합하며 앞발은 물건을 쥐거나 굴을 파기도 한다.
생태특성
- 서식지환경 : 하천이나 연못의 둑
- 생식, 발생 방법 : 뉴트리아의 한 집단은 수컷 한 마리와 암컷 몇 개체, 그리고 어린 자손으로 구성되며 최소 2개체에서 최대 13개체 이상의 무리로 집단을 구성하며 연간 평균 2~3회의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다. 임신기간 2~3개월 (5~10마리 출산), 새끼들은 2~3일이면 부드러운 먹이를 먹으며 헤엄도 칠 수 있다.
- 섭식, 먹이사슬 : 초식 위주의 잡식동물이므로 식물 전체부위 중 자신이 선호하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섭식하고 뿌리와 줄기껍질 부위까지 섭식하기도 한다.
- 수명 : 사육상태에서 6년
- 기타 : 군집을 이루어 생활한다. 모피는 촉감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보온성, 내구성, 내수성이 뛰어나다. 양털 모양의 털은 모자나 코트의 재료로 이용된다. 굴 형성을 선호하며 굴 안쪽에는 이동로, 탈출구를 건설한다.
도입특성
원산지 : 남미
도입시기 : 1985년
도입용도 : 고기와 모피 생산 목적으로 도입
분포특성
남부지방(낙동강 일대)을 중심으로 분포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유입여부 : 유입되었음
유입경로 및 원인 : 사육포기로 농가에서 방출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 잡식성이고 번식력이 좋아 생존가능성이 높다.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 호수, 습지, 강가 근처의 농가
천적 :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할,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 습지보호지역 안에 있는 습지식물을 먹거나 농작물을 훼손하였고 굴을 파는 습성으로 둑이나 제방을 파괴하기도 하였다. 수생 식물을 주로 섭식하여 서식지 내 수초대를 감소시키며 밀도의 과도한 증식으로 하안이나 호안, 연안의 침하를 불러오기도 한다. 식물의 전 부위를 섭식하나 수변에 자라는 키 큰 수초의 연한 부위 또는 뿌리를 즐겨 먹는다.
피해종명, 피해 생태계 사례
- 습지보호지역인 경상남도 창녕 우포늪에 자생하는 가시연꽃을 먹거나 습지식물의 잎이나 뿌리 등을 갉아먹고, 습지 인근 농가에서는 겨울에 하우스작물이 피해를 입기도 하였음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 야행성인 뉴트리아의 활동을 감지하기 어려워 포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 국내에 천적이 없고, 잡식성에다가 번식력이 높고 물속에서의 이동범위가 넓어 홍수와 범람으로 원거리 확산이 가능할 수 있어, 뉴트리아로 인한 피해 또한 확산될 우려가 높다.
조절/퇴치 방법제안
- 포획, 수계 차단, 뉴트리아 관리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함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 현황
국내 - 생태계교란 생물
타국가 - 유럽, 미국, 일본
국제기구 - IUCN이 지정한 세계 100대 침입외래종
출처 : 한국외래생물정보시스템
'환경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 교란생물 - 무척추동물 미국가재 (0) | 2025.06.27 |
---|---|
생태계 교란생물 - 어류 (브라운송어 블루길 배스) (0) | 2025.06.24 |
생태계교란 생물 - 황소개구리 미국가재 (3) | 2025.06.23 |
생태계교란생물 - 중국줄무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1) | 2025.05.30 |
생태계교란 생물 - 늑대거북 (0) | 202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