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가재 Procambarus clarkii
무척추동물
영명 : Red crayfish (Red swamp crayfish)
1. 서식지환경
정체성 내지는 완만한 흐름의 온난한 담수역에서 서식
하천과 농수로, 저수지, 논 등에서 서식하며 동물 사체부터 물고기, 수서곤충, 수생식물까지 가리는 것이 없는 잡식성으로 환경에 적응이 빠르고 생존력이 강하다.
2. 생식, 발생방법
북미 원산인 미국가재는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수입된 이후 무책임하게 방사되면서 국내 생태계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색깔은 주로 붉은색이나 흰색, 주황색, 푸른색 등 다양하다.
10㎝ 정도 되는 암컷은 50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이보다 작은 암컷은 100개 정도의 알을 낳기도 한다. 산란은 봄철에 시작되며 건기에는 산란을 멈춘다.
3. 생태계 영향
미국가재는 강바닥, 저수지, 논둑 등지에 굴을 파는 습성이 있는데 이는 물을 탁하게 하며, 녹조 발생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강한 육식성인 미국가재는 토종 가재와 먹이 경쟁을 벌이거나 곰팡이 등 병을 옮길 수 있고 또한 천적이 적어 국내 생태계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유럽에서는 붉은가재로 인하여 유럽 토착종 가재(Astacus astacus)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서식지나 먹이경쟁이 아닌 붉은가재에 수반된 곰팡이인 Aphabomyces astaci에 의한 질병 전염이 원인이었다.
4. 조절 및 퇴치
미국가재는 강바닥, 저수지, 논둑 등지에 굴을 파는 습성이 있는데 이는 물을 탁하게 하며, 녹조 발생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천적이 적어 국내 생태계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붉은가재의 판매인과 개인소유자가 있는 지역은 자연생태계로 나가지 못하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생태계 유입 우려가 높은 지역이나 이미 출현한 지역은 일정한 관찰 조사가 요구된다.
초기정착이 확인되고 확산경향이 나타나는 곳은 제거가 필요하다.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도 우리나라의 토착가재보다 높아 방류된 지역에서 정착하고 2차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
'환경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 교란생물 - 파충류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악어거북, 리버쿠터, 붉은귀거북속) (0) | 2025.06.29 |
---|---|
생태계 교란생물 - 어류 (브라운송어 블루길 배스) (0) | 2025.06.24 |
생태계교란 생물 - 황소개구리 미국가재 (3) | 2025.06.23 |
생태계교란생물 - 중국줄무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1) | 2025.05.30 |
생태계교란 생물 - 늑대거북 (0) | 202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