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줄무늬목거북 Mauremys sinensis
영명 : Chinese Striped-necked Turtle
파충류
학명 : Mauremys sinensis
생활사
1. 형태특성
중국줄무늬거북은 초록색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어릴 때는 등에 세 갈래의 용골이 선명하게 선을 이루고 있지만, 성장함에 따라 등갑의 색이 갈색이나 고동색으로 짙어지면서 희미해진다.
가슴 부분(복갑)에는 인판마다 검은 반점이 있는 아이보리색이며 아래쪽에서 보면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무늬가 줄지어 있다. 목과 다리 부분의 선명한 줄무늬가 이종을 다른 종과 구분하게 하는 가장 뚜렷한 외형 특징이다.
꼬리는 다른 반수생종과 비교하였을 때, 더 긴 편이며 특히, 수컷보다 암컷의 꼬리가 더 길다. 어린 개체의 체형은 납작하지만 성장하면서 등갑이 더 조금씩 위로 용기한다. 성체 기준으로 수컷은 20cm, 암컷은 25cm 내외로 암컷이 더 크다.
2. 생태특성
- 서식지환경
- 얕고 유속이 느리고 부드러운 진흙이나 점토성 바닥이 있는 호수, 늪, 강 등지에 서식한다. 피부가 예민한 편으로 수질이 나쁘면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자연에서는 깨끗한 늪지나 민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다른 반수생종 거북보다 수온과 수질에 민감한 종이다. - 생식, 발생 방법
- 3월 하순에서 6월 초순에 암컷은 5~20개의 알을 낳고 약 60일 후에 부화한다. - 섭식, 먹이사슬
- 주로 초식성이나 가끔 육식도 한다. - 수명
- 자료없음 - 기타
- 반 수생종으로 물과 육지를 왔다 갔다 한다.
도입특성
- 원산지
- 타이완, 중국, 라오스, 베트남. - 도입시기
- 도입시기 미확인 - 도입용도
- 정월대보름 방생용 및 애완용으로 수입
분포특성
동해안의 석호에서 관찰되었다.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 유입여부
- 유입되었음 - 유입경로 및 원인
- 인공번식되는 개체 수가 많고 가격이 저렴해 국내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반수생종 거북 가운데 하나이다. 정월대보름 방생용 및 애완용으로 수입, 방생됨으로써 일부 하천에서 가끔 발견할 수 있다. 남생이와 형태가 유사하여 방생되고 있다. -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 원래 중국 남부의 열대지역에서 서식하던 거북이기에 한국의 추운 겨울에는 대부분 동사하지만, 최근 한 연구진의 관찰에 의하면 한반도 남부의 일부 따뜻한 지역에서는 비교적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 자료 없음 -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
- 자료 없음
영향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할,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 한국, 일본 : 토착 거북종과 먹이 경쟁 및 교접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2005년 말부터 중국과 대만에서 국제적 멸종위기종(CITES Appendices Ⅲ)으로 지정된 종이다.
조절/퇴치
-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 자료 없음 -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 자료 없음 - 조절/퇴치 방법제안
- 자료 없음
국내, 외 침입외래종 지정 현황
- 국내 : 생태계교란 생물
- 타국가 : 일본
- 국제기구 : 자료 없음
출처 : 환경부
'환경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 교란생물 - 무척추동물 미국가재 (0) | 2025.06.27 |
---|---|
생태계 교란생물 - 어류 (브라운송어 블루길 배스) (0) | 2025.06.24 |
생태계교란 생물 - 황소개구리 미국가재 (3) | 2025.06.23 |
생태계교란 생물 - 늑대거북 (0) | 2025.05.25 |
생태계교란 생물 - 뉴트리아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