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생태계교란 생물 - 황소개구리 미국가재

mignon_ 2025. 6. 23. 08:36

생태계교란생물 40종 중에서 양서류 1종 황소개구리와 무척추동물 1종 미국가재의 생활사와 생태계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

분류 : 양서류
영명 : American Bull frog
1. 서식지환경 : 물속에서 생활하며 호수, 연못, 강, 늪지에서 발견된다.

2. 섭식, 먹이사슬 : 육식성으로 뱀, 곤충, 애벌레, 개구리, 올챙이, 도롱뇽, 갑각류를 섭식하고 동족도 심심찮게 잡아먹는다.

3. 생태계 영향 : 우리나라 고유 양서류 중에서 개구리과의 종들과 경쟁하여 우세하므로 고유종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토종 어류의 포식자로 어류자원의 감소가 초래된다.

4. 조절 및 퇴치 : 생태계 먹이사슬을 흔들기 때문에 반드시 점차적으로 밀도 조절이 필요하다. (정치망, 족대, 주낙)
 

 

미국가재  Procambarus clarkii

분류 : 무척추동물
영명 : Red crayfish (Red swamp crayfish)
 
1. 서식지환경 : 정체성 내지는 완만한 흐름의 온난한 담수역에서 서식
 
2. 생식, 발생방법 : 10㎝ 정도 되는 암컷은 50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이보다 작은 암컷은 100개 정도의 알을 낳기도 한다. 산란은 봄철에 시작되며 건기에는 산란을 멈춘다.
 
3. 생태계 영향 : 우유럽에서는 붉은가재로 인하여 유럽 토착종 가재(Astacus astacus)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서식지나 먹이경쟁이 아닌 붉은가재에 수반된 곰팡이인 Aphabomyces astaci에 의한 질병 전염이 원인이었다.
 
4. 조절 및 퇴치 : 붉은가재의 판매인과 개인소유자가 잇는 지역은 자연생태계로 나가지 못하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생태계 유입 우려가 높은 지역이나 이미 출현한 지역은 일정한 관찰 조사가 요구된다. 초기정착이 확인되고 확산경향이 나타나는 곳은 제거가 필요하다.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도 우리나라의 토착가재보다 높아 방류된 지역에서 정착하고 2차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