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1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매년 화려한 꽃이 잔뜩 피던 수국이 올해는 꽃이 없는 것을 보니 가지치기를 너무 늦게 한 것 같다. 초록잎만 가득하지만 내년엔 꽃을 볼 수 있기를. 중국이 원산지인 수국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온 꽃나무로 분단화, 자양화, 팔선화 등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 속명인 Hydrangea는 그리스어의 hydro(물)와 angeion(그릇)의 합성어로 수국속의 식물들이 물을 많이 필요로 하다 보니 붙어졌다.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잎은 짙은 녹색으로 크고 넓은데 깊은 주름이 져있고 두툼한편, 광택이 있다. 꽃은 무성화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지름 10~15cm 정도의 큰 꽃송이들이 나무를 뒤덮다시피 피어서 매우 아름답다.꽃잎처럼 보이는 부분은 사실 꽃받침이고, 가운데 부분에 작은 꽃..

식물 00:22:13

(여러해살이풀) 타래난초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아파트 주변 산책길에 만난 타래난초. 어디서 날아와 뿌리를 내렸을까 싶다. 벼과 식물로 예상했지만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그날따라 유난히 눈에 띄었을 흔한 풀꽃이다.Spiranthes라는 속명은 나선형으로 감아 피는 꽃을 뜻하고 자연상태에서 형태나 색의 변이도 적지 않다.조경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길에서 보게 되는 가로수며 작은 풀까지 계절의 변함에 따라 달라지는 식물들은 하루하루 다르게 보인다. 이전엔 그냥 지나치던 풍경 속에서 궁금한 것이 많아지고 반가움을 느끼고 공부할 거리를 발견하게 되었다.문밖을 나서는 발걸음이 가벼워진 이유다.

식물 2025.07.06

생태계교란생물 - 곤충 (등검은말벌,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빗살무늬미주메뚜기, 열대긴수염개미)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영명 : Asian black hornet, Yellow-legged asian 1. 서식지환경- 중국 남부와 베트남, 인도 등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한다. 2. 섭식, 먹이사슬- 성충은 나무 수액이나 꿀 등을 섭식하고 유충은 성충이 사냥한 꿀벌 종류 및 곤충을 섭식한다. 3. 생태계 영향- 독은 다른 말벌에 비해 강력하지 않지만, 통증 및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봉군 입구에서 양봉꿀벌을 직접 포식해 양봉농가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국내 토착 말벌과의 경쟁을 통해 생태적 교란을 심각하게 일으키고 있으며, 토종꿀벌과 양봉꿀벌의 집 앞에서 돌아오는 꿀벌을 공격해 사냥하는 전문 꿀벌포식자로 국내 양봉가에 경제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

환경생태 2025.07.05

조경, 생태복원 용어

천이- 극상군락에서는 방향성이 없고 생태적인 평형 관계가 유지된다. 같은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식물군집의 변화를 의미한다. 시간이 경과되면 발아속도가 느리고 양분 요구량이 높은 초본류들이 자리를 잡아 군락을 형성한다.- 2차 천이를 볼 수 있는 환경 : 숲을 벌채해서 방치한 환경-1차천이와 2차 천이는 천이 시작단계 환경에서의 유기물 환경 유무이다.- 퇴행천이 : 천이의 단계가 극상군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빗나가 고차에서 저차의 군락으로 향한다. 예를 들어 산림이 극상림으로 오랫동안 구조와 기능을 유지되다 보면 숲이 밀생인 상태로 유지되어 수관층이 두텁게 발달해 더 이상 하부식생이 발달하지 않아 퇴적되는 양분이 적어지게 된다.숲의 구조- 수직적 구조 : 숲의 목본류- 수평적 구조 : 숲의..

조경공부 2025.07.04

생태계교란생물 - 곤충 (열대불개미, 미국선녀벌레, 아르헨티나개미, 붉은불개미, 긴다리비틀개미)

열대불개미 Solenopsis geminata영명 : Tropical fire ant 1. 서식지환경- 일반적으로 땅속에 집을 만든다. 강둑, 연못 근처 등 습기가 있는 땅에 집을 짓는다. 통나무, 바위, 벽돌 등의 밑에 집을 지어 잘 보이지 않는다. 2. 섭식, 먹이사슬- 잡식성이며, 대형 일개미는 식물 씨앗을 채집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독침은 동물을 제압하거나 무척추동물을 공격할 때 쓰인다. 사냥은 주로 땅 표면과 땅속에서 이루어진다. 3. 생태계 영향- 다양한 작물에 발생하며 특히 양배추, 옥수수, 토마토 등의 씨앗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껍질을 벗기고 수액을 흡즙 하며,, 가지, 새싹, 꽃, 과일 등을 깨문다. 사람 및 가축 등이 독침에 쏘이는 사고가 발생하며 도시지역에 침범..

환경생태 2025.07.03

월계화 Rosa chinensis Jacq.

6월 초 오래된 식물원이 궁금해져서 금강식물원을 둘러보았다.입구엔 키오스크가 있어서 입장권을 구매하고 들어갈 수 있었다.넓은 공간은 아니었지만 2m 이상 키가 큰 병꽃나무나 양팔로 맞잡아도 부족한 나무들에서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었다.작은 연못이 층을 나누어 있었고 주변은 키가 많이 자란 관목들이 주를 이루었고, 놀란건 주먹만 한 우렁이들이 엄청 많았어서 마치 양식장인냥. 올챙이들도 엄청 많았는데 어떤 개구리의 올챙이였을까 새삼 궁금하다. 와중에 장미인지, 찔레꽃인지 모르겠는, 크고 작은 꽃이 엄청 화사하게 모여 피어나있어서 한참 들여다보았다.이아이는 또 무슨꽃일까? 월계화 Rosa chinensis Jacq.장미과 > 월계화 중국 원산의 다년생 상록성 관목. 주로 정원에 관상용으로 식재한다고 한다..

식물 2025.07.02

여러해살이풀 - 갯패랭이꽃 Dianthus japonicus Thunb.

산책길에 만난 갯패랭이꽃. 화단에서 처음 보는 꽃이어서 계속 눈길이 갔다.패랭이꽃 같기는 한데 키가 꽤 크고 광택감이 있는 잎도 패랭이꽃이라기엔 크기가 컸다. 그리고 잎이 참 예쁘다. 잎이 꽃처럼 나 있어서 사진을 찍고 찾아보았다. 갯패랭이꽃 Dianthus japonicus Thunb.석죽과 > 패랭이꽃속 > 갯패랭이꽃 바닷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높이 20~50cm 정도이고 아랫부분은 목질이다.꽃은 7~8월에 줄기 끝에서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먼저 꽃대의 끝에 꽃이 한 송이 피고, 그 밑의 가지 끝에 다시 꽃이 피고, 거기서 다시 가지가 갈라져 끝에 꽃이 핀다.)꽃잎은 붉은 자주색으로 끝에 톱니가 5개 있다.경남, 제주도의 추자도에 나고,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식물 2025.07.02

조경기능사 실기시험

이번 주 7월 4일 조경기능사 자격증 합격자 발표가 있다. 결과가 궁금하지만 결과가 나오기 전에 후일담을 남겨두는 게 좋을 것 같다. 합격이라면 좋겠지만 떨어진다면 아마도 후기를 쓸 맘이 사라질 테니.6월 4일 조경기능사 실기 도면 시험을 보고, 11일엔 작업형 시험을 봤다.이전에 필기시험은 70초반대 점수로 겨우 통과. 도면 시험.시험지를 받고 처음엔 정말 충격적이었다. 같이 시험 보는 사람들이 대략 10명은 넘었던 것 같은데 여기저기서 쌍시옷을 포함한 탄식이 터져 나왔다.한 시간쯤 지났을 때 포기하고 나간 사람도 있었다.마운딩이 네 개, 놀이공간이 1m 아래였나? 위였나? 놀이공간 내에 마운딩이 두 개 있고 마운딩 사이에 길쭉한 징검다리가 있었다.기울기가 있는 벽면은 조형벽이었고, 앉음벽도 다섯 개 ..

조경공부 2025.07.01

진달래와 철쭉의 차이

진달래와 산철쭉은 모양이 비슷하고, 철쭉과 산철쭉은 모양은 다르지만 이름이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차이는 진달래는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모두 피고 꽃이 질 무렵 잎이 나지만 철쭉과 산철쭉은 잎이 나온 후에 꽃이 핀다.산철쭉과 철쭉의 구분은 산철쭉의 잎이 좁고 끝이 뾰족한 반면 철쭉의 잎은 넓고 동그란 형태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진달래, 철쭉, 산철쭉은 모두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관목이지만 사는 곳은 좀 다르다. 진달래는 산자락의 빛이 잘 드는 곳에 자라고, 철쭉은 비교적 높은 곳의 나무 그늘 아래에 주로 자라며, 산철쭉은 산중의 계곡가 바위틈에 주로 자란다. 조경 공사에 많이 쓰이는 영산홍 종류는 산철쭉을 개량한 품종들이 많이 쓰인다. 진달래 Rhododendron muc..

식물 2025.06.30

생태계 교란생물 - 파충류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악어거북, 리버쿠터, 붉은귀거북속)

악어거북 Macrochelys temminckii영명 : Alligator snapping turtle 1. 서식지환경 큰 강, 운하, 호수, 늪의 깊은 곳에서 서식하며 유년기엔 얕은 개울에서 서식한다. 2. 섭식, 먹이사슬물 속에서 입을 벌리고 지렁이처럼 보이는 혀로 먹이를 유인하여 사냥한다. 물고기, 연체 동물, 다른 거북이, 개구리, 뱀, 조개, 가재, 곤충 및 수생식물을 먹고 다람쥐, 뉴트리아, 사향쥐와 같은 중간 크기의 설치류나 너구리, 주머니쥐, 아르마딜로를 비롯한 중형 포유류도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늑대거북과에 속하는 악어거북은 세계에서 가장 큰 민물 거북으로 수족관에서 113kg까지 자란 기록이 있고 야생에서는 45kg정도가 흔히 발견된다. 3. 생태계 영향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고 ..

환경생태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