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풀솜대 Maianthemum japonicum
백합과 > 두루미꽃속 > 풀솜대
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며, 높이 20~60cm, 위로 갈수록 털이 많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작고, 흰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지장보살, 솜대, 솜죽대, 왕솜대, 큰솜죽대, 품솜대라고도 한다.






자란 Bletilla striata
난초과 > 자란속 > 자란
해안과 섬의 낮은 산지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지생란이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3~7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붉은 보라색이다. 꽃줄기는 높이 30~70cm, 가늘고 단단하며, 자줏빛을 띠기도 한다.
제주도와 전라남도 유달산, 대둔산, 진도, 해남, 완도, 보길도 등에 자생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coreanum
미나리아재비과 > 꿩의다리속 >연잎꿩의다리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높은 산 능선의 바위 지대나 풀밭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강원도 설악산 이북에 자생하며,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솜다리 Leontopodium coreanum Nakai
국화과 > 솜다리속 > 솜다리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줄기는 15~25cm로 높은 산의 자갈이 많은 사면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국외반출시 승인이 필요하다.



정향풀 Amsonia elliptica
용담목 > 협죽도과 > 정향풀속 > 정향풀
정향풀은 협죽도과 여러해살이풀로 2017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식물이다.
5월에 하늘색 꽃이 핀다. 인천 옹진군, 전라남도 완도군 등에 자생하며, 꽃핀 모양이 한자의 정(丁)자와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정자초, 수감초 라고도 부든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화 분재 (큰두루미꽃 꿩의다리 족도리풀 고란초 한라개승마 삼지구엽초 창고사리 산일엽초) (0) | 2025.05.27 |
---|---|
철쭉분재 (0) | 2025.05.27 |
야생화 분재 (비짜루 큰앵초 깽깽이풀 층층갈고리둥굴레 손고비 산호수 범꼬리) (1) | 2025.05.25 |
야생화 분재 (제주 백당나무 양지꽃 우산나물 조개나물 기린초) (0) | 2025.05.22 |
가지고비고사리 Coniogramme japonica Diels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