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식재 설계란 식재 공간에 대한 식물생육 환경의 적합성을 판단해 식재기반을 구상하고 설계하는 과정이다. 식재에 적합한 배수 및 관수 조건을 결정하고 인공지반의 경우 도입 식물의 생육조건에 따른 적합한 식재기반조성을 설계해야 한다.
식재기반
1. 용어
- 식재기반 - 식물의 뿌리가 생육할 수 있는 토양층. 관수, 배수, 지반보강, 인공지반 위의 방수층, 방근층 등 식물뿌리의 생육을 위해 설치되는 모든 시설물을 포함.
- 인공지반 -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의 구조물 위에 조성되는 식재기반
- 특수지반 - 임해매립지, 쓰레기매립지 등 특수 기반 위에 조성되는 식재기반.
2. 배수시설
- 지하수의 높이 및 심토층 배수. (식물의 생육 토심이 1m 이상인 곳에서는 지하수의 높이가 지표면으로부터 1m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생육 토심 1m 이하인 곳에서는 정체수 배수를 위해 심토층 배수시설을 한다.
- 표면배수 - 지표면의 빗물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지표면의 기울기는 2% 이상으로 하며, 지표면 기울기가 10% 이상일 경우에는 지표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을 한다.
- 심토층 배수 - 지하수위가 높은 곳, 배수 불량 지반은 맹암거, 개거 등을 이용한 심토층 배수, 완화 배수 및 수목 주위 배수암거 등을 설계내용에 따라 고려한다.
3. 식물의 생육 토심
식물의 종류 | 생존 최소 토심 (cm) | 생육 최소 토심(cm) | ||||
인공토 | 자연토 | 혼합토 (인공토 50% 기준) |
토양 등급 중급 이상 | 토양 등급 상급 이상 | 배수층의 두께 | |
잔디, 초화류 | 10 | 15 | 13 | 30 | 25 | 10 |
소관목 | 20 | 30 | 25 | 45 | 40 | 15 |
대관목 | 30 | 45 | 38 | 60 | 50 | 20 |
천근성 교목 | 40 | 60 | 50 | 90 | 70 | 30 |
심근성 교목 | 60 | 90 | 75 | 150 | 100 | 30 |
4. 인공지반의 식재기반
- 식재기반의 구성 - 방수층(방근층 포함), 배수층, 여과층, 식재기반층, 피복층 등으로 구성.
- 방수시설 - 물리적,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보호층을 설치.
균열 또는 식물의 뿌리에 의한 방수층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근성이 있는 방수소재를 선정.
내구성이 강한 방수재 선정. - 방근시설 - 인공지반에서는 인공구조물의 균열에 대비하고 식물의 뿌리가 방수층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근용 시트를 깔아야 함.
- 배수시설 - 배수판 아래의 구조물 표면은 1.5~2.0%의 표면 기울기를 유지한다.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는 옥상 1면에 최소 2개소의 배수공(관경은 최저 75mm)을 설치.
넓은 녹지의 경우 맹암거를 설치하고 자연지반 쪽으로 배수를 유도하거나 집수정 및 맨홀 등 배수시설에 접속되도록 한다. - 여과층 - 배수층 위에는 식재지반의 토양이 배수층으로 혼입 되지 않도록 여과층을 설치.
- 관수시설 - 식재 규모에 맞는 관경으로 급수관을 설치하고, 급수관은 노출하지 않도록 배관 경로와 은폐 방법을 고려하여 설치.
- 식재기반층 - 토심이 얕은 경우 인공토양을 위주로, 토심이 깊을 경우 자연토양을 위주로 설계.
- 표토의 피복 - 토양수분, 침식과 수분 손실, 잡초발생, 토양온도,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 등을 고려하여 지표식재 및 멀칭. 식물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토양에는 피복층을 설계한다.
- 생육 토심
- 전도방지 시설 - 식재지의 바람 조건, 식재토양의 지지력, 식물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강풍 등으로 식물이 넘어질 우려가 있는 곳에 전도방지 시설을 설계.
옥상조경 식재기반 설계하기
1. 식재기반 설계
- 식재 환경 적합성 판단 - 옥상녹화에서는 식생 종류와 관리 요구도, 녹화시스템의 중량을 우선적으로 고려.
- 식재 환경 확보 방안 구상 - 옥상이용에 따른 안전성의 확보, 옥상경사, 적용하중, 풍압등에 대한 검토.
- 식재 환경 배수, 관수 조건 - 건축물 자체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 배수의 문제가 없을 때 녹화시공.
- 식재기반 설계 - 식재기반은 방수방근층, 보호층, 배수층, 여과층, 식재기반층, 피복층 등으로 구성.
2. 인공지반 식재기반 설계
- 도시 미기후 조절 및 생물서식공간(비오톱)이 되도록 조성하고, 기존 인공구조물과의 조화 및 생물다양성을 고려.
- 기후. 미기후, 햇빛, 바람 등 자연환경 조건을 조사하고 검토. 구조적 안전성, 접근성, 안정성, 하부구조 등 인공환경 조건을 조사, 검토.
- 인공지반의 설계하중으로 고정하중, 적재하중, 적설하중, 풍하중 등으로 고려하고 특히 고정하중, 적재하중을 우선 고려.
식재목표, 식재계획, 식재유형을 고려하여 실시.
수목식재설계
1. 수목의 측정 지표 및 규격
수고 (H) | 지표에서 수목 정단부까지의 수직거리. |
흉고직경 (B) | 지표면으로부터 1.2m 높이의 수간의 직경. |
근원직경 (R) | 지표면과 접하는 줄기의 직경. 가슴높이 이하에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성질이 있는 수목인 경우 흉고직경 대신 근원직경으로 표시한다. |
수관폭 (W) | 수관의 직경을 말하며 타원형 수관은 최대층의 수관축을 중심으로 한 최단과 최장의 폭을 합하여 나눈것을 수관폭으로 한다. |
수관길이 (L) | 수관의 최대길이. 수관이 수평으로 생장하는 특성을 가진 수목이나 조형된 수관일 경우 수관길이 적용. |

2. 수목의 규격
내용 | 규격 표시 (단위 :m) | |
교목 | 기본적으로 수고 × 흉교직경 으로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수관폭, 수관의 길이,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R=1.2B) | |
곧은줄기가 있는 수목으로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목 | 수고 H × 흉고직경 B 수고 H × 수관폭 W × 흉고직경 B |
|
줄기가 흉고부 아래에서 갈라지거나 다른 이유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는 수목 | 수고 H × 근원직경 R 수고 H × 수관폭 W × 근원직경 R |
|
주로 상록성 침엽수로서 가지가 줄기의 아랫부분부터 자라는 수목 | 수고 H × 수관폭 W | |
관목 | 수고 H × 수관폭 W 으로 표시, 필요에 따라 뿌리분의 크기, 지하고, 가지수, 수관길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목류로 수고와 수관폭을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목 |
수고 H × 수관폭 W |
수관의 한쪽 길이 방향으로 성장이 뛰어난 수목 (눈향나무, 눈주목 등) | 수고 H × 수관폭 W × 수관길이 L |
|
만경류 | 수고 H × 근원직경 R(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흉고직경을 지정할 수 있다. | 수고 H × 근원직경 R(cm) 수관길이 L × 근원직경 R(cm) 수관길이 L (또는 수관길이 L × 년생) |
묘목 | 수간길이와 근원직경으로 표시 필요에 따라 묘령 (실생, 접목, 삽목)을 적용 |
실생(파종), 접목, 삽목 |
초화 | 분얼로 표시하며 뿌리나누기로 번식이 가능한 초종에 적용. | 분얼 (촉) |
식재 형식
1. 조경양식
- 랜덤식재 (임의식재) - 넓은 면적에 크고 작은 나무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목 배치하여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수림으로 덮이게 하는 양식.
부등변삼각형 식재를 확대해 나가는 방식. - 표본식재 (독립식재, 요점식재) - 형태가 우수하고 무게감이 있는 정형의 수목을 단독으로 식재하는 방법.
- 대식 (대칭) - 형태와 크기가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측의 좌우에 쌍으로 식재하여 질서감을 표현.
- 열식 - 형태, 크기 등이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줄을 이루도록 식재하는 방법.
- 교호식재 - 열식을 변형하여 같은 간격으로 서로 어긋나게 식재하는 방법.
- 집단식재 (모아심기) -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하여 일정지역을 덮는 식재방법.


2. 미적 효과를 고려한 식재형식
- 표본식재 - 1주의 독립수로 식재되어 미적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는 수목을 식재한다.

- 강조식재 - 단조로운 식재군내에서 1주 이상의 수목으로 시각적 변화와 대비에 의한 강조효과를 얻고자 하는 식재 방식.
- 군집식재(무리식재) - 개체의 개성이 약한 수목을 3~5주 모아 심어 식재단위를 구성.

- 산울타리식재 - 한 종류의 수목을 선형으로 반복하여 식재하는 형식. (식물자체로 울타리역할)

- 경재식재 - 한 공간의 외곽경계 부위나 원로를 따라 식재.

3. 건물에 관련한 식재형식
- 초점식재 - 수관선에 의한 초점형성 및 효과, 질감, 색채, 형태를 이용해 집중과 접근의 방향을 강조하여 시각적 관심을 유도하는 식재형식.
- 모서리식재 - 건물모서리의 앞과 옆의 강한 수직선을 완화. 모서리를 수관으로 가려서 건물을 보다 커 보이게 하는 효과.

- 배경식재 - 건물과 주변경관을 융화. 대교목을 심어 그늘과 함께 방풍, 차폐 기능을 동시에 수행.
- 가리기식재 - 가려야 할 부분을 적절히 가려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하는 식재 형식.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복원 - 모니터링 (0) | 2025.05.30 |
---|---|
서식지 복원 (생태복원) (0) | 2025.05.16 |
생태복원 계획 - 문화환경 조사 (0) | 2025.05.12 |
생태복원 공간구상 - 토지환경 조사 (0) | 2025.05.10 |
조경식물 선정 (2)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