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공부

조경식재설계 - 식재기반

mignon_ 2025. 5. 14. 09:06

조경식재 설계란 식재 공간에 대한 식물생육 환경의 적합성을 판단해 식재기반을 구상하고 설계하는 과정이다. 식재에 적합한 배수 및 관수 조건을 결정하고 인공지반의 경우 도입 식물의 생육조건에 따른 적합한 식재기반조성을 설계해야 한다.

 

식재기반

1. 용어

  • 식재기반 - 식물의 뿌리가 생육할 수 있는 토양층. 관수, 배수, 지반보강, 인공지반 위의 방수층, 방근층 등 식물뿌리의 생육을 위해 설치되는 모든 시설물을 포함.
  • 인공지반 -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의 구조물 위에 조성되는 식재기반
  • 특수지반 - 임해매립지, 쓰레기매립지 등 특수 기반 위에 조성되는 식재기반.

2. 배수시설

  • 지하수의 높이 및 심토층 배수. (식물의 생육 토심이 1m 이상인 곳에서는 지하수의 높이가 지표면으로부터 1m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생육 토심 1m 이하인 곳에서는 정체수 배수를 위해 심토층 배수시설을 한다.
  • 표면배수 - 지표면의 빗물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지표면의 기울기는 2% 이상으로 하며, 지표면 기울기가 10% 이상일 경우에는 지표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을 한다.
  • 심토층 배수 - 지하수위가 높은 곳, 배수 불량 지반은 맹암거, 개거 등을 이용한 심토층 배수, 완화 배수 및 수목 주위 배수암거 등을 설계내용에 따라 고려한다.

3. 식물의 생육 토심

식물의 종류 생존 최소 토심 (cm) 생육 최소 토심(cm)
인공토 자연토 혼합토
(인공토 50% 기준)
토양 등급 중급 이상 토양 등급 상급 이상 배수층의 두께
잔디, 초화류 10 15 13 30 25 10
소관목 20 30 25 45 40 15
대관목 30 45 38 60 50 20
천근성 교목 40 60 50 90 70 30
심근성 교목 60 90 75 150 100 30

 

4. 인공지반의 식재기반

  • 식재기반의 구성 - 방수층(방근층 포함), 배수층, 여과층, 식재기반층, 피복층 등으로 구성.
  • 방수시설 - 물리적,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보호층을 설치.
    균열 또는 식물의 뿌리에 의한 방수층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근성이 있는 방수소재를 선정.
    내구성이 강한 방수재 선정.
  • 방근시설 - 인공지반에서는 인공구조물의 균열에 대비하고 식물의 뿌리가 방수층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근용 시트를 깔아야 함.
  • 배수시설 - 배수판 아래의 구조물 표면은 1.5~2.0%의 표면 기울기를 유지한다.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는 옥상 1면에 최소 2개소의 배수공(관경은 최저 75mm)을 설치.
    넓은 녹지의 경우 맹암거를 설치하고 자연지반 쪽으로 배수를 유도하거나 집수정 및 맨홀 등 배수시설에 접속되도록 한다.
  • 여과층 - 배수층 위에는 식재지반의 토양이 배수층으로 혼입 되지 않도록 여과층을 설치.
  • 관수시설 - 식재 규모에 맞는 관경으로 급수관을 설치하고, 급수관은 노출하지 않도록 배관 경로와 은폐 방법을 고려하여 설치.

  • 식재기반층 - 토심이 얕은 경우 인공토양을 위주로, 토심이 깊을 경우 자연토양을 위주로 설계.
  • 표토의 피복 - 토양수분, 침식과 수분 손실, 잡초발생, 토양온도,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 등을 고려하여 지표식재 및 멀칭. 식물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토양에는 피복층을 설계한다.
  • 생육 토심
  • 전도방지 시설 - 식재지의 바람 조건, 식재토양의 지지력, 식물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강풍 등으로 식물이 넘어질 우려가 있는 곳에 전도방지 시설을 설계.

옥상조경 식재기반 설계하기

1. 식재기반 설계

  • 식재 환경 적합성 판단 - 옥상녹화에서는 식생 종류와 관리 요구도, 녹화시스템의 중량을 우선적으로 고려.
  • 식재 환경 확보 방안 구상 - 옥상이용에 따른 안전성의 확보, 옥상경사, 적용하중, 풍압등에 대한 검토.
  • 식재 환경 배수, 관수 조건 - 건축물 자체에서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 배수의 문제가 없을 때 녹화시공.
  • 식재기반 설계 - 식재기반은 방수방근층, 보호층, 배수층, 여과층, 식재기반층, 피복층 등으로 구성.

2. 인공지반 식재기반 설계

  • 도시 미기후 조절 및 생물서식공간(비오톱)이 되도록 조성하고, 기존 인공구조물과의 조화 및 생물다양성을 고려.
  • 기후. 미기후, 햇빛, 바람 등 자연환경 조건을 조사하고 검토. 구조적 안전성, 접근성, 안정성, 하부구조 등 인공환경 조건을 조사, 검토.
  • 인공지반의 설계하중으로 고정하중, 적재하중, 적설하중, 풍하중 등으로 고려하고 특히 고정하중, 적재하중을 우선 고려.
    식재목표, 식재계획, 식재유형을 고려하여 실시.

수목식재설계

1. 수목의 측정 지표 및 규격

수고 (H) 지표에서 수목 정단부까지의 수직거리.
흉고직경 (B) 지표면으로부터 1.2m 높이의 수간의 직경.
근원직경 (R) 지표면과 접하는 줄기의 직경. 가슴높이 이하에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성질이 있는 수목인 경우 흉고직경 대신 근원직경으로 표시한다.
수관폭 (W) 수관의 직경을 말하며 타원형 수관은 최대층의 수관축을 중심으로 한 최단과 최장의 폭을 합하여 나눈것을 수관폭으로 한다.
수관길이 (L) 수관의 최대길이. 수관이 수평으로 생장하는 특성을 가진 수목이나 조형된 수관일 경우 수관길이 적용.

 

수목 측정 기준 (출처 : 안양시)

 

2. 수목의 규격

  내용 규격 표시 (단위 :m)
교목  기본적으로 수고 × 흉교직경 으로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수관폭, 수관의 길이,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R=1.2B)  
  곧은줄기가 있는 수목으로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목 수고 H × 흉고직경 B
수고 H × 수관폭 W × 흉고직경 B
  줄기가 흉고부 아래에서 갈라지거나 다른 이유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는 수목 수고 H × 근원직경 R
수고 H × 수관폭 W  ×  근원직경 R
  주로 상록성 침엽수로서 가지가 줄기의 아랫부분부터 자라는 수목 수고 H × 수관폭 W
관목 수고 H × 수관폭 W 으로 표시, 필요에 따라 뿌리분의 크기, 지하고, 가지수, 수관길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목류로 수고와 수관폭을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목
수고 H × 수관폭 W


  수관의 한쪽 길이 방향으로 성장이 뛰어난 수목 (눈향나무, 눈주목 등) 수고 H × 수관폭 W × 수관길이 L
만경류 수고 H × 근원직경 R(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흉고직경을 지정할 수 있다. 수고 H × 근원직경 R(cm)
수관길이 L × 근원직경 R(cm)
수관길이 L (또는 수관길이 L × 년생)
묘목 수간길이와 근원직경으로 표시
필요에 따라 묘령 (실생, 접목, 삽목)을 적용
실생(파종), 접목, 삽목
초화 분얼로 표시하며 뿌리나누기로 번식이 가능한 초종에 적용. 분얼 (촉)

 

식재 형식

1. 조경양식

  • 랜덤식재 (임의식재) - 넓은 면적에 크고 작은 나무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목 배치하여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수림으로 덮이게 하는 양식.
    부등변삼각형 식재를 확대해 나가는 방식.
  • 표본식재 (독립식재, 요점식재) - 형태가 우수하고 무게감이 있는 정형의 수목을 단독으로 식재하는 방법.
  • 대식 (대칭) - 형태와 크기가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측의 좌우에 쌍으로 식재하여 질서감을 표현.
  • 열식 - 형태, 크기 등이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줄을 이루도록 식재하는 방법.
  • 교호식재 - 열식을 변형하여 같은 간격으로 서로 어긋나게 식재하는 방법.
  • 집단식재 (모아심기) -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하여 일정지역을 덮는 식재방법.

교호식재 (출처 : kocw)
임의식재 (출처 : kocw)

 

2. 미적 효과를 고려한 식재형식

  • 표본식재 - 1주의 독립수로 식재되어 미적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는 수목을 식재한다.

표본식재 (출처 : kocw)

  • 강조식재 - 단조로운 식재군내에서 1주 이상의 수목으로 시각적 변화와 대비에 의한 강조효과를 얻고자 하는 식재 방식.
  • 군집식재(무리식재) - 개체의 개성이 약한 수목을 3~5주 모아 심어 식재단위를 구성.

군집식재 (출처 : kocw)

  • 산울타리식재 - 한 종류의 수목을 선형으로 반복하여 식재하는 형식. (식물자체로 울타리역할)

산울타리식재 (출처 : kocw)

 

  • 경재식재 - 한 공간의 외곽경계 부위나 원로를 따라 식재.

경재식재 ( 출처 : kowc)

 

3. 건물에 관련한 식재형식

  • 초점식재 - 수관선에 의한 초점형성 및 효과, 질감, 색채, 형태를 이용해 집중과 접근의 방향을 강조하여 시각적 관심을 유도하는 식재형식.
  • 모서리식재 - 건물모서리의 앞과 옆의 강한 수직선을 완화. 모서리를 수관으로 가려서 건물을 보다 커 보이게 하는 효과.

모서리식재 (출처 : 오마이뉴스)

  • 배경식재 - 건물과 주변경관을 융화. 대교목을 심어 그늘과 함께 방풍, 차폐 기능을 동시에 수행.
  • 가리기식재 - 가려야 할 부분을 적절히 가려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하는 식재 형식.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복원 - 모니터링  (0) 2025.05.30
서식지 복원 (생태복원)  (0) 2025.05.16
생태복원 계획 - 문화환경 조사  (0) 2025.05.12
생태복원 공간구상 - 토지환경 조사  (0) 2025.05.10
조경식물 선정  (2)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