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와 산철쭉은 모양이 비슷하고, 철쭉과 산철쭉은 모양은 다르지만 이름이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차이는 진달래는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모두 피고 꽃이 질 무렵 잎이 나지만 철쭉과 산철쭉은 잎이 나온 후에 꽃이 핀다.
산철쭉과 철쭉의 구분은 산철쭉의 잎이 좁고 끝이 뾰족한 반면 철쭉의 잎은 넓고 동그란 형태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진달래, 철쭉, 산철쭉은 모두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관목이지만 사는 곳은 좀 다르다. 진달래는 산자락의 빛이 잘 드는 곳에 자라고, 철쭉은 비교적 높은 곳의 나무 그늘 아래에 주로 자라며, 산철쭉은 산중의 계곡가 바위틈에 주로 자란다.
조경 공사에 많이 쓰이는 영산홍 종류는 산철쭉을 개량한 품종들이 많이 쓰인다.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1. 형태
낙엽 활엽 관목
뿌리가 굵게 뻗고 높이는 2~3m 정도이다. 줄기는 연한 갈색으로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상이고 점첨도, 예형이며 표면에 비늘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 비늘조각이 밀생 하며 털이 발달하였다.
꽃은 3월 말~4월 말에 개화하며 잎보다 먼저 피고, 꽃부리는 벌어진 깔때기 모양으로 보랏빛의 붉은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겉에 잔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이고 길이 2cm 정도로 11월에 성숙한다.
2. 분포
중국, 내몽고, 일본, 극동러시아
우리나라 전국 분포(저지대부터 아고산)
3. 생육환경
저지대나 고산, 계곡변, 암석 위, 황폐지, 비옥지 등을 가리지 않고 어디서나 잘 자라고 내조성은 강하나 대기오염에 약해서 도심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건조지보다는 적습지에서 잘 자라고 음수로 양지에서도 잘 자라며,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4. 번식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실생 :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하였다가 봄에 이끼 위에 파종하며, 발아율이 높은 편이다.
무성생식 : 삽목으로도 증식이 가능하며 발근이 잘되며 분주로도 행한다.
5.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다.
6. 유사종
흰진달래(for. albiflorum T. Lee) : 꽃이 흰색이다.
털진달래(var. ciliatum Nakai) : 일년생가지와 엽록, 잎몸 및 엽병에 털이 있다.
왕진달래(var. latifolium Nakai):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반들진달래(var. maritimum Nakai) :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양면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한라산진달래(var. taquetii Nakai): 열매가 약간 길고 가늘다.
7. 특징
중생식생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맹아력이 강하고 꽃이 잎보다 먼저 난다. 봄에 산 전체를 붉게 물들이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나무로 시와 노래에 이야깃거리로 등장한다.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1. 형태
뿌리가 길고 키는 2~5m 정도의 낙엽활엽 관목.
잎은 어긋나고 가지 끝에 5개씩 모여나기하며,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4월 말~6월 초에 개화하며, 잎과 더불어 피고 향기가 있으며 꽃부리는 연한 붉은색으로 뒷부분의 꽃잎은 적갈색 반점이 있고, 깔때기 모양이다.
열매는 10월~11월에 성숙한다.
2. 분포
중국 요동 남부, 내몽고, 극동러시아 전국
3. 생육환경
음수로서 산성 토양과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곳을 좋아하며, 내한성과 내조성은 강하나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약하다. 반그늘에서 잘 자라나 양지에서도 잘 자라고 내건성과 환경내성이 약하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4. 번식
분주, 실생, 삽목으로 번식한다. 실생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하였다가 봄에 이끼 위에 파종, 양묘 한다.
5. 재배특성
이식이 어렵다.
6. 유사종
흰철쭉 (for. albiflorum T. Lee) : 흰색꽃이 핀다.
7. 특징
꽃은 독성이 있어 진달래와 달리 식용할 수 없다.
강원도 정선군 반론산의 철쭉나무와 분취류 자생지는 수령 200년 정도로 5m의 높이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내음성이 강하여 숲 밑에 하목으로 식재하면 복층적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고, 소나무류의 하층식재로 자주 쓰인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계화 Rosa chinensis Jacq. (0) | 2025.07.02 |
---|---|
여러해살이풀 - 갯패랭이꽃 Dianthus japonicus Thunb. (0) | 2025.07.02 |
화단식물 - 갯기름나물 더덕 브룬펠시아 꽃누리장나무 (1) | 2025.06.21 |
벚나무 - 왕벚나무 산벚나무 수양벚나무 (1) | 2025.06.20 |
으아리 클레마티스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