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이
- 극상군락에서는 방향성이 없고 생태적인 평형 관계가 유지된다. 같은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식물군집의 변화를 의미한다. 시간이 경과되면 발아속도가 느리고 양분 요구량이 높은 초본류들이 자리를 잡아 군락을 형성한다.
- 2차 천이를 볼 수 있는 환경 : 숲을 벌채해서 방치한 환경
-1차천이와 2차 천이는 천이 시작단계 환경에서의 유기물 환경 유무이다.
- 퇴행천이 : 천이의 단계가 극상군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빗나가 고차에서 저차의 군락으로 향한다. 예를 들어 산림이 극상림으로 오랫동안 구조와 기능을 유지되다 보면 숲이 밀생인 상태로 유지되어 수관층이 두텁게 발달해 더 이상 하부식생이 발달하지 않아 퇴적되는 양분이 적어지게 된다.
숲의 구조
- 수직적 구조 : 숲의 목본류
- 수평적 구조 : 숲의 가장자리, 숲의 내부, 숲의 틈
숲 생태계의 무생물적 요소
- 빛, 물, 공기, 토양, 온도
숲의 형태
- 단일수종으로 구성된 숲을 단순림이라 하고 두 종류 이상의 수종 즉,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을 혼합림이라 한다.
초지
- 초지는 주로 초본 식물로 덮인 토지이다. 자연적으로 초본식물이 우점하고 있는 초지를 자연초지라고 한다. 목초지는 이용방법에 따라 방목지, 채초지, 겸용초지 등으로 나뉜다.
염생식물
- 나문재, 퉁퉁마디, 수송나물
숲 관리시 정기적 유지관리 사항 : 교란종 제거
초지 생태계의 관리종이 곤충인 경우의 관리요소
- 산란, 월동을 위한 낙엽층, 부식층 형성. 계절별 흡밀식물 다양하게 관리. 다양한 식생의 지속적 관리.
녹조 발생시 관리방향 요소
- 수위를 높여 물의 유동을 유도, 수변부 정수식물 등 식재로 영양 염류 흡수, 제거
습지의 개념 중
- 내륙습지란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못, 늪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 연안습지란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습지의 구성요소 3가지
- 습지수문, 습지토양, 습지식생
람사르 협약
- 람사르협약은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관한 최초의 국제협약으로,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써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이다.
습지토양
- 내륙의 토양은 밝은 적색이나 갈색, 노란색을 띤다. 습지의 토양이 짙은 회색이나 검은색을 띠는 이유는 무기염류가 원인이다. 습지의 토양에서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것은 황화수소의 영향이다.
습지 식생의 특징
- 솝이 빈 줄기가 많고 통기조직이 발달해 있다. 잎 표면의 큐티클 층이 없거나 표피 세포가 매우 얇다.
습지식물의 생활특성에 따른 분류
- 정수 또는 추수식물 : 갈대, 줄,애기부들,꼬마부들, 고랭이류, 택사류, 매자기, 미나리, 보풀, 흑삼룡, 창포, 골풀, 물질경이 등
- 부엽식물 : 수련, 어리연꽃, 노랑어리연꽃, 자라풀, 가래, 네가래 등
- 침수식물 : 말즘, 붕어마름, 새우말, 나사말 등
- 부유식물 :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
인구환경 조사 방법 중에서 문헌조사 방법은 국가통계포털 사이트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할 때 대푯값은 평균, 최빈값, 백분위수이다.
토지환경 조사 및 분석항목
- 토지이용 현황, 토지피복 현황, 관련 법규
지목
-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것으로 주된 용도별 분류, 28개 지목으로 구분되며 지적공부에 등록된다.
용도지역
-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 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토지환경 전체 조사 분석 계획수립의 3단계
- 조사분석 계획수립, 조사분석 실시, 보고서 작성
용도지구
- 용도지구는 9가지로 구분하여 지정하고 있다.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경관을 도모한다.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토지의 이용, 건폐율, 높이 등에 대한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한다.
용도지역의 종류
-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자연환경보전법
- 이 법규의 목적은 자연환경을 인위적 훼손으로부터 보호하고, 생태계와 자연경관을 보전하는 등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함으로써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여유 있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주간선도로 - 시, 군 상호간을 연결하여 대량통과 교통을 처리하는 도로로서 시,군의 골격을 형성
보조간선도로 - 시,군 교통의 집산 기능을 하며 근린주거구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
집산도로 - 근린주거구역 내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며 근린주거 구역의 내부를 구획하는 도로
국지도로 -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
교육시설
- 교육시설이란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등에서 정의한 시설인 동시에 각 법에 의거하여 인가를 받아 설립된 교육시설이다. 평생교육기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방송대학,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 대학 등
역사환경 조사 및 분석에 활용되는 항목 4가지
- 과거 토지환경, 과거 지형과 수문, 과거 토양, 과거 식생과 동물
역사환경 조사분석의 수행 순서
- 역사환경 조사분석 계획 수립하기 , 역사환경 조사분석 실시하기, 보고서 작성
문화재란
-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 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문화재의 종류로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등이 있다.
역사환경의 문헌조사 방법
- 고지도, 과거의 지형도 등의 역사문화자료를 활용한다. 인근지역의 과거 개발사업계획서 또는 환경영향평가서가 있는지 조사한다. 산림청이 산림을 대상으로 산림조사 목적으로 촬영한 항공사진과 같은 항공사진을 활용한다.
역사환경의 조사 및 분석 목적
- 정체성을 파악하여 미래를 옳게 추론하기 위해.
역사환경 조사 및 분석에 활용되는 항목
- 과거 토지환경, 과거 지형과 수문, 과거 토양, 과거 식생과 동물
역사 환경 조사, 분석의 수행 순서
- 역사환경 조사, 분석 계획 수립, 역사환경 조사,분석 실시, 역사환경 보고서 작성
토양 수분의 종류
- 결합수, 흡습수, 중력수, 모세관수
관수의 효과
- 탄소 동화작용의 직접적인 재료가 된다. 세포액의 팽압에 의해 체형 유지. 증산으로 잎의 온도 상승을 막거나 수목의 체온을 유지해 준다. 토양 중의 양분(비료)을 녹여 뿌리가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준다. 토양 중의 유해 가스를 밀어낸다. 지표의 공중 습도가 높아져 수목의 증산량 감소. 토양의 건조를 막는다. 토양 중의 염류를 제거한다. 식물체 표면의 오염물질을 씻어 내며 초기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관수량 계산식
- (수목의 수량 × 분지표 면적) × 분평균 깊이 × 12.75mm
관수 방법- 지표관수법 :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나 있는 플라스틱 파이프나 유공 튜브에 압력이 가해진 물을 분출시켜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 점적 관수법 : 마이크로 플라스틱 튜브 끝에서 물이 조금씩 공급되도록 하여 원하는 곳에 소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살수식 관수법 : 수송관 끝에 각종 노즐을 부착하고 일정 수압의 물을 보내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
수분장력계- 수분이 토양 입자에 의해 붙잡혀 있는 장력을 측정하여 토양이 건조한 정도를 판단하는 기계
지주의 형태와 적용 수목- 당김줄형 지주 : 대형목으로 경관적으로 중요한 곳- 매몰형 지주 : 경관상 중요한 위치이거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경우- 삼각(사각) 지주 : 통행량이 많고 공간이 협소할 때
멀칭- 노출되어 있는 토양을 어떤 재료로 덮음으로써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하여 수목의 생장을 유리하게 한다.- 멀칭의 효과 : 토양수분 유지, 잡초 발생 억제, 토양 구조 개선
멀칭 재료의 종류와 특성- 바크 : 소나무 껍질을 찌거나 소독 처리하여 토양환경에 유해한 성분이 없고 크기가 다양하며 미적인 면에서 좋다.- 우드칩(톱밥) : 정기적인 비료 사용이 안된다면 질소질 결핍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피트모스 : 산성에서 잘 자라는 상록성 식물 등에 이상적이다.
상열 현상- 겨울철 수간이 동결할 때 바깥쪽에 변재 부위가 안쪽에 단열되어 있는 심재 부위보다 더 심하게 수축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
음수 (수목)
- 내음성이 강해 약한 광선 조건에서도 자랄 수 있는 수종. (비자나무, 독일가문비, 전나무, 가시나무, 후박나무 등)
방풍림으로 적합합 수종
- 곰솔, 소나무, 은행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 가시나무류, 굴거리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의 상록 활엽수. 단풍나무류, 모과나무, 목련류, 소귀나무, 참나무류, 칠엽수, 튤립나무 등
잠복소
- 해충이 월동을 위해 지표면으로 내려올 때 이를 유인하기 위해 짚이나 새끼, 거적 등을 이용하여 잠복소를 설치하며 시기는 9~10월이 적당하다.
비료의 3요소
- 칼륨 : 뿌리와 줄기를 튼튼하게.
- 인 : 개화와 열매의 성숙에 영향.
- 질소 : 성장과 세력에 영향.
교목의 정의
- 다년생 목질인 곧은 줄기가 있고 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명확하다. 중심 줄기의 신장생장이 뚜렷한 수목을 말한다.
뿌리돌림
- 이식력이 약한 나무, 노목 또는 쇠약목의 잔뿌리(세근)를 발달시켜 세력을 회복시키거나, 이식력을 높이기 위해 실시한다.
- 뿌리돌림은 연중 가능하지만 뿌리의 생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이른 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 뿌리돌림의 규격은 근원직경의 3~5배 정도로 한다.
뿌리돌림 방법
- 뿌리분의 크기는 이식에 필요한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작게 한다. 수목을 지탱하기 위해 3~4방향으로 한 개씩, 곧은 뿌리는 자르지 않고 폭 15cm 정도의 폭으로 환상박피 한 다음 흙을 되묻는다. 뿌리돌림을 하며 영양과 수분의 수급 균형이 깨지므로 가지와 잎 또는 지엽을 적당히 속아내 생리균형(T/R율)을 맞추어준다.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능사 실기시험 (2) | 2025.07.01 |
---|---|
조경재료의 특징 - 덩굴성 만경목 (조경수) (0) | 2025.06.28 |
조경재료 - 관목 (조경수) (1) | 2025.06.26 |
조경재료의 특징 - 교목 3 (조경수) (0) | 2025.06.25 |
조경재료의 특징 - 교목2 (조경수목)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