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교란생물 - 곤충 (등검은말벌,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빗살무늬미주메뚜기, 열대긴수염개미)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
영명 : Asian black hornet, Yellow-legged asian
1. 서식지환경
- 중국 남부와 베트남, 인도 등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한다.
2. 섭식, 먹이사슬
- 성충은 나무 수액이나 꿀 등을 섭식하고 유충은 성충이 사냥한 꿀벌 종류 및 곤충을 섭식한다.
3. 생태계 영향
- 독은 다른 말벌에 비해 강력하지 않지만, 통증 및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봉군 입구에서 양봉꿀벌을 직접 포식해 양봉농가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국내 토착 말벌과의 경쟁을 통해 생태적 교란을 심각하게 일으키고 있으며, 토종꿀벌과 양봉꿀벌의 집 앞에서 돌아오는 꿀벌을 공격해 사냥하는 전문 꿀벌포식자로 국내 양봉가에 경제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화분매개에 있어 꿀벌 의존도가 높은 과수와 채소농가 등에서 등검은말벌에 의한 경제적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또한 다른 말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영소를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 내 주민들에 대한 말벌 피해가 점차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4. 조절 및 퇴치
- 등검은말벌의 월동 후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여왕벌을 집중적으로 포획하면, 한 개 봉군 전체를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인트랩을 이용해 포획하거나 말벌집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갈색날개매미충 Ricania sublimata
1. 서식지환경
- 일반적으로 땅속에 집을 만든다. 강둑, 연못 근처 등 습기가 있는 땅에 집을 짓는다. 통나무, 바위, 벽돌 등의 밑에 집을 지어 잘 보이지 않는다.
2. 생식, 발생방법
- 연중 1세대 발생하며, 산란기주 가지나 줄기 속에서 알로 월동한다. 5월 중순부터 6월 상순까지 부화하며, 부화된 약충은 2령충으로 탈피하면서 군집 이동을 한다. 약충은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4단계 탈피하여 성충이 된다. 7월 중순에 우화 한 성충은 1개월간 산란하지 않고 자유스럽게 기주식물을 옮겨 다니며 섭식하다가 8월 중순부터 산란하기 시작하며 10월 중순까지 산란이 지속된다. 암컷은 성충이 된 후 곧바로 교미하지 않고 약 3~4주의 교미기간을 거쳐 산란한다.
3. 생태계 영향
- 1년생 가지 조직내 산란에 의한 가지고사로 수관을 크게 감소시키며 유실수의 경우 결과모지의 수가 줄어 결실량을 감소시키는 피해를 주며, 약충과 성충은 잎과 줄기에서 양분흡즙으로 인한 생육저해와 분비물에 의한 그을음병 유발로 광합성량 감소 및 외관상의 과일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2010년 8월 충남 공주와 예산에서 사과와 블루베리 등을 가해하는 것이 처음 보고되었다. 2011년에는 전남 구례군 산동면 외산리 인근의 약 286 ha에 발생하여 산수유, 감, 밤, 매실 등의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였다. 중국 지린성에서 사과, 감, 복숭아와 같은 다양한 과수와 가로수의 주요 경제적 해충으로 기록되었다. 중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에 의해 나무의 성장이 평균 26.9%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4. 조절 및 퇴치
- 약충방제에 효과적인 친환경자재는 고삼추출물과 천연식물추출물이었으며, 성충에는 고삼추출물로 80% 이상 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충의 경우 특히 약제 살포시 도망가버리기 때문에 방제효과가 낮을 수 있으므로 충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산란기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암컷 성충들을 유인하여 산란 피해를 줄이거나, 산란된 난괴의 물리적 제거 등과 같은 방법이 있다.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영명 : Spotted lanternfly
1. 서식지환경
-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가 주 서식지인 남방계 곤충이나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겨울을 나는 경우가 있다.
2. 생식, 발생 방법
- 알이 영하 10℃에도 살아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 전역에서 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7월경 성충이 나타나고 주로 8~9월에 밀도가 가장 높으며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기주식물의 줄기나 가지, 시멘트나 철근 구조물 등의 고체 표면에 알을 산란한다. 선호수종은 가죽나무, 버드나무, 때죽나무, 은사시나무, 포도나무, 배나무 등 총 40여 종의 기주식물이 확인되었다.
3. 생태계 영향
- 대규모 포도 재배단지인 천안 일대와, 경산, 영천, 옥천과 청주 등의 포도재배지에서 발생했다. 포도재배지 이외에도 매실, 복숭아, 사과, 자두, 키위 등의 과수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문제될 정도로 확산된 사례는 아직 없다. 피해유형으로 직접적으로 포도나무 등을 흡즙 하여 생장을 늦어지게 하거나, 꽃매미가 분비하는 감로에 의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주변 식물을 고사시키고 잎의 광합성을 저해해 대사활동을 방해한다. 그리고 과실의 숙성을 저해하며, 상처를 내어 병을 감염시킨다. 과실 표면에 발생한 그을음병은 상품가치를 훼손시켜 경제적 피해를 가중시킨다.
포도, 매실, 복숭아, 사과, 자두, 키위 등의 과수에 피해를 준다.
4. 조절 및 퇴치
-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잡아내거나 알을 없애는 방법으로 집중적인 제거를 할 수 있다. 대규모 포도재배지 등에서 경작지나 과수원의 해충 관리 차원에서 살충제 등을 살포하여 꽃매미를 제거하지만 주변인가나 산지 등에서 피해 사는 꽃매미가 다시 날아들면서 박멸이 어렵다. 도로변 가로수 해충 관리 차원에서도 살충제 등을 살포하나 어느 경우에도 살충제가 자연으로 무분별하게 나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산 주변부나 하천변 등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특히 살충제 살포등을 지양하고 물리적인 제거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산간계곡 등에서는 살충제 살포로 육상곤충의 생육이 크게 제한되고 물고기 생육에도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자연 상태의 곤충상 변화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빗살무늬미주메뚜기 Melanoplus differentialis
영명 : Differential grasshopper
1. 서식지환경
- 북미 원산으로 화물선 등으로 통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의 평균 몸길이는 3~4cm가량으로 노란색, 녹색, 갈색 등이 있다. 빗살무늬미주메뚜기는 땅속에서 70~230개가량의 알이 든 알 덩어리 형태로 겨울을 난다.
2. 섭식, 먹이사슬
-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초여름 이른 더위에 32일만에 성충으로 성장함. 4월에 약충으로 부화하여 7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옥수수, 벼, 콩을 비롯한 다양한 작물을 섭식하며, 무리를 지어 다니며 섭식하는 경향이 있다.
3. 생태계 영향
- 다식성 해충으로 협엽과 광엽 초본식물 모두 섭식하며 일반적으로 협엽식물보다 광엽식물을 좋아함,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해바라기, 가시상추 등 국화과 잡초(광엽식물)는 매우 중요한 먹이이며, 신선한 해바라기보다 시들고 상처가 난 해바라기를 선호, 곡물, 옥수수, 알파파, 콩, 목화 등 다양한 초본식물과 과수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발생함. 약충은 곡물, 알파파, 목초 작물를 가해하며 성충은 날아다니면서 옥수수 재배지를 3, 4일만에 초토화시킴.
4. 조절 및 퇴치
- 땅 속에 알 덩어리 상태로 있을 때 드론을 이용한 화학적 방제 또는 고압살수식 물리적 방제 방식이 있다.
열대긴수염개미 Paratrechina longicornis
영명 : Longhorn crazy ant
1. 서식지환경
- 적응력이 좋아서 매우 건조한 지역부터 습한 지역까지 다양한 조건에 서식하며, 주거지에 침입한 후 적응하여 집안에서 나타나는 흔한 해충이 되기도 함
주로 식물, 나무, 썩은 나무, 땅속 등의 구멍, 더미 등에서 나타남
군집은 중간 정도 또는 매우 큰 규모로도 나타남
2. 섭식, 먹이사슬
- 움직임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며, 잡식성으로 살아 있는 곤충, 종자, 꽃꿀, 과일, 음식물 등 다양한 종류를 먹이로 삼음
고단백질에 대한 계절적 선호가 있으며, 여름에는 꿀과 당분을 선호하지 않음
3. 생태계 영향
- 독침은 없으나, 이빨로 물어 상처 난 곳에 개미산을 분비해 고통을 주며, 도마뱀과 같은 큰 동물을 사냥하기도 함
토착 개미류, 무척추동물과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해 토착생태계 교란을 할 수 있음
집안, 건물, 병동 등에 침입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진딧물이나 깍지벌레류와 공생하면서 농업해충의 확산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함
4. 조절 및 퇴치
- 자료없음